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트럼프의 관세정책 김진정 ACI LAW GROUP

by Info modoo 2025. 3. 17.

 

유튜브의 가장 큰 장점은 평소 만나기 어려운 전문가들의 견해를 무료로 들을 수 있다는 점이다.

 

최근 내가 가장 좋아하는 채널은 언더스탠딩!

 

이번에는 미국에서 법률 회사를 운영하는 김진정 관세법 전문 변호사님이 출연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심도 있게 다뤘다.

 

한 시간이 넘는 긴 영상이었지만, 덕분에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이해하기에 도움이 되는 자료이니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한번 시청해보시기를 추천드린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경제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 기업의 대응 전략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미국 경제 회복과 제조업 보호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그는 이를 위해 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 적자를 문제 삼으며, 자유무역협정(FTA)과 WTO를 비판하고, 자국 산업 보호를 위해 강경한 무역 정책을 펼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 내 노동자들의 경제적 몫이 줄어든 원인으로 지목된 중국의 WTO 가입 이후 더욱 강조되었다.

 

 

관세는 세수 확보, 산업 보호, 상호성이라는 전통적인 역할 외에도 외교적 수단으로 활용되며, 트럼프는 이를 통해 미국의 경제적 주도권을 강화하고자 했다. 관세는 수입자가 부담하는 세금으로, 미국 기업이 경쟁력을 유지하는 데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는 한편, 해외 기업들의 미국 시장 접근을 어렵게 만드는 효과도 있다.

 

 

그러나 관세 정책이 반드시 경제 성장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다. 2022년 미국은 역사상 가장 많은 관세를 부과했지만, 기대했던 세수 확보 효과를 거두지 못했다. 또한, 관세 인상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있지만,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있다. 결국, 관세 정책의 효과는 단기적 성과와 장기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한국 기업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자사 비즈니스에 미칠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전략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특히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협상력 강화, 대체 시장 개척, 우회 수출 전략 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앞으로도 국제 무역 환경은 계속 변할 것이며, 이에 대한 유연한 대응이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는 핵심이 될 것이다.

 

 

 

 

 

 

 

 

 

 

반응형